호흡할 때 들어오는 산소의 1~2% 완전히 산화하지 못하고 불안정해진 산소는 만병의 근원, 노화를 일으키며
스트레스, 흡연, 과음, 과식, 수면 부족, 과도한 운동이 원인이 됩니다.
호흡 중 2% 활성산소
위장 내 이상발효 90%
과식
과음
흡연
활성산소에 의한 질병
세포 유전자의 산화
적절한 활성산소는?
- 세균,바이러스 억제
- 세포성장, 분화에 도움
“암도 예방이 가능하다는 증거가 쌓이고 있습니다.
암에 걸릴 가능성 중 70%는 당신에게 달려있습니다.”
금연 5년
적당한 음주
적당한체중
적당한 운동
‘항산화 효소’를 늘려라
항산화란? 활성산소의 산화 활동을 억제하는 것 ( 단, 활성화 적정수준 유지)
토마토
석류
블루베리
하루 호흡 횟수 약 2만회가량
필요한 산소량 약 1,500ℓ 중 2~3%인 30ℓ 가량 활성산소 생성
활성산소는 불안정한 상태로 DNA를 공격하여 생성되는 유해산소
사람과 동물 모두에 영향을 주며 예를 들어 치타의 경우 빠른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산소량이 높고 활성산소량이 비례하여 수명이 짧은 것으로 나타남.
치타의 예시와 비슷하게 운동량이 많고 호흡량이 많은 운동선수의 경우도 활성산소가 일반인보다 높은 것으로 소개 평균수명이 일반인 보다 12세가 짧은 이유
자외선으로 만들어진 활성산소는
피부의 적이므로 차단은 필수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등은 3시간 이하로
적절하게 사용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과일,
채소 충분히 섭취
고무장갑에 구멍 만드는 이유
- 과호흡 방지
- 맥박수가 분당 90~110회 (일반 성인 분당 60~80회) 유지
- 복압을 높이지 않게 하여 심 뇌혈관계 질환 유발 방지
- 고혈압 뇌졸중 방지
체험 전
체험 후
활성산소를 낮추기 위해서는 저강도 운동이 필수입니다
폐활량 증가
심신이 안정
행복호르몬이 분비
꾸준한 운동
유산소
근력
유연성
균형
유산소, 근력, 유연성, 균형